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OSTA교육/수업95

[90/100] 240823 오늘은 회의를 통해 서로 api를 요청할 양식을 결정하고 문서화를 진행했다. 그리고 기획 과정에서 미흡했던 부분들을 회의를 통해 확정하고 작업을 시작했다. 9월 첫째주에는 마무리가 되어서 빠르면 6일 금요일, 늦으면 9일 월요일에 발표를 할 것 같다. 원래 6일까지 마무리 하고 7일 8일은 개인정비시간을 가지려고 했었어서 조금 앞당겨진 일정에도 부담은 적었다. 이번 주말은 필요한 팀원들끼리 모이기로 했다. 토요일은 개인사정으로 인해 불참하지만 일요일은 같이 채팅을 사용할 팀원을 만나서 채팅을 같이 구현하려고 한다. 그리고 다음주 수요일 전까지 기능구현을 끝내고 api 연결을 시도하고 다음주 주말부터는 리액트로 view를 만들어서 연결 해야 할 것 같다. 아마 리액트가 이제 거의 수업만 들은 상태고 실습이.. 2024. 8. 23.
[89/100] 240822 오늘은 문서작업과 화면 설계를 하는 도중 기획 과정에서 어색한 부분이 발견되서 추가로 회의를 진행했다. 팀의 기획 과정에서 질병으로 인해 결석이 많았어서 그런지 뭔가 화면설계와 문서화 작업이 순탄치 않았다. 일단 심부름 파트 구현을 위해 인텔리제이에서 기본 부트 설정을 하고 인텔리제이에서 직접 git을 구성했다. 그리고 심부름 생성과 조회를 구현해서 postman 으로 호출테스트를 했고 정상적으로 동작했다. 팀의 msa 설계가 아직 진행중이라 일단 기능구현에 더 신경쓰기로했다. 주말까지 기능구현에 신경쓴다음 채팅구현에 대해 r&d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2024. 8. 22.
[88/100] 240821 오늘은 예비군 훈련으로 인해 결석했다. 하지만 프로젝트는 개인적으로 진행했다. 개발에 필요한 화면과 기능을 추가설계했고 해당부분을 figma 화면설계와 요구사항명세서를 수정했다. 그리고 패키지다이어그램과 db 스키마 설계를 진행했다. 2024. 8. 21.
[87/100] 240820 오늘은 연휴가 지나고 처음 모이는 날이다. 하지만 각자의 작업이 msa로서 파트가 나눠져있어서 개별적으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따로 회의를 하진 않았다. 팀원들은 각자 맡은 파트에서 새롭게 써볼 기술이나 익숙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r&d를 진행했고 나는 aws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요구사항 명세 문서 작업과 기획안에 대한 숙지를 진행했다. 21일은 예비군으로 인해 결석할 예정이라 팀원들에게 할 질문들을 미리 작성해서 전달해 두었다. 예비군 훈련을 받는 동안 오늘 남긴 질문들에 대해 답변을 받고 추가로 진행된 회의가 있으면 전달받고 작업을 다시 시작하면 될 것같다. 사실 이번 프로젝트는 어떻게 기술적으로 뛰어나거나 아이디어가 뛰어난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모두가 새로운 것을 다같이 공부하고 다같이 .. 2024. 8. 20.
[86/100] 240814 오늘은 등원을 해서 팀원들과 회의와 작업을 진행했다. 팀원들이 화면 설계 문서를 하는 동안 일정관리에 사용할 트렐로와 요구사항 문서 세팅을 진행했다. 화면 설계 문서를 하나도 참여하지 않은 상태라 연휴기간동안 팀원들의 기획 문서를 정독하고 내가 맡은 파트의 구현을 어떻게 할지 생각해야 겠다. 8월 15일부터 8월 19일까지 학원의 휴강과 공휴일, 광복절로 5일의 여유가 생겼다. 하지만 프로젝트 기간의 5일 연휴는 별로 달갑지 않다. 그래도 다행히 프로젝트에 사용할 기술스펙이 익숙하지 않아서 숙달하는 시간으로 사용하면 될 것같다고 생각했다. 2024. 8. 15.
[85/100] 240813 오늘은 집에 코로나 환자가 있어서 케어를 위해 집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팀원들과 연락하여 업무를 배정받고 중간중간 연락하면서 진행했다. 사실 일방적으로 통보한셈인데 이해해준 팀원들에게 감사하다. 물론 3일간 음성이 나오면 나갈 생각이라 팀원들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선택이라 서로 이해 했을거라 생각한다. 그래도 고맙다. 다시 코로나가 유행하던데 개인 건강관리에 더 신경써야 겠다고 생각했다. 오늘은 팀원들이 figma를 통해 화면설계를 진행했고 나는 요구사항 명세나 여러 일정관리를 위한 문서의 기초를 작성했다. 작성한 문서를 기반으로 내일 회의를 진행하고 휴일동안 효율적으로 작업을 나눠서 진행하기 위함이다. 팀원들은 연휴때 조금 쉬는 기간을 부여하고 내가 빠진만큼 설계에 더 신경써야겠다. 2024. 8. 13.
[84/100] 240812 오늘은 정상출석하여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기획안이 대략나온 상황이고 파트분배와 화면설계를 위해 figma를 이용하여 메인페이지 디자인을 하고 있다. 대학 전공을 살려서 로고를 제작하는데 옛날생각이 많이 났다. 그리고 반에 역병이 돌았는지 전염병에 걸린 사람들이 많았다. 건강관리에 더 유의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프로젝트를 마무리 하기 위해 변수를 고려해서 여유롭게 일정관리를 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2024. 8. 12.
[83/100] 240809 오늘은 파이널 프로젝트 1번째 날이다. 아침에 일어났을때 열이 있어서 하루 더 휴식하고 싶었는데 단위기간의 마무리가 어제라서 어제 결석한 부분에 대해 서류를 제출해야 해서 참고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물론 프로젝트 첫날이라 결석이 부담스럽기도 했는데 견디고 나간것도 어느정도 있다. 일단 회의를 통해 전자상거래쪽 장르를 확정지었고, 기술스펙으로는 Spring boot + react + jpa + junit + aws + msa를 적용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그리고 자세한 내용은 팀원들에게 일임하고 결정사항에 대해 팔로우 하기로 하고 조퇴를 했다. 팀원들이 고생을 해준만큼 주말에 월요일부터 할 문서자료나 규칙등을 어느정도 틀을 잡아놓고 가야 겠다고 생각했다. 일단 오늘은 블로그 글 작성과 알고리즘 풀이정도만 하.. 2024. 8. 9.
[82/100] 240808 오늘은 리액트 수업을 마무리 하는 날이였다. 하지만 새벽부터 열이 나고 목이 따가워서 병원에 갔더니 인후두염 진단을 받았다. 인후두염은 전염가능성도 있고 뒤늦게 열이 심하게 올라오는 타입이라 결석했다. 아니나 다를까 오전에는 미열이었는데 오후부터 고열에 시달렸다. 하지만 여전히 할일을 해야한다는 생각에 컴퓨터 앞에 앉았고 내일부터 진행될 프로젝트에서 적용할 기술에 대한 조사와 블로그 글 업로드, 알고리즘 풀이를 진행했다. 손가락까지 못움직이는거 아니면 꼭 해야한다고 생각했고 벌써 82번의 글을 작성했다. 처음에는 이걸 처음부터 끝까지 다 쓸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었지만 하나 둘 하다보니 이렇게 왔다. 원래 시작전에 거대해 보이지만 막상 하나 둘 하다보면 도달하는게 프로그래밍 공부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 2024. 8. 8.
[81/100] 240807 오늘은 React와 spring boot를 같이 사용해서 간단하게 db를 조회하는 서비스를 연습했다. 그리고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하게 회의를 진행했다. 프로젝트의 오피셜 스타트는 8.9(금)이다. 금요일까지 주제 선정을 해야 해서 가볍게 어떤 장르의 서비스를 할지, 어떤 기술 스펙을 적용할지 회의를 진행했고 Spring boot + React 로 진행할 것 같다. 그리고 장르는 대략 이커머스 서비스를 생각하고 있고 기술로는 결제시스템, spring security, jwt, open api, restful등등을 적용하고 추가로 TDD(테스트 주도 개발)를 위해 junit을 적용해보고 싶다. 물론 팀원들과의 회의를 통해 맞춰가야겠지만 현재로서는 이정도 스펙을 적용하고 크게 욕심을 부리지 않고 제대로 마무리.. 2024. 8. 7.
반응형